본문 바로가기
⏹ 드라마와 영화소개

[영화추천] 순수의 시대(1993년)

by 쿨우주인 2023. 3. 12.
반응형

 

원작소개
영화 <순수의 시대>는 '마틴 스콜세지'감독의 작품으로 개봉 당시 많은 화제를 불러일으켰던 작품입니다. 이 영화의 주연으로는 '다니엘 데이 루이스', '미셸 파이퍼', '위노나 라이더' 등 유명 배우들이 출연하였습니다. 특히 주인공인 아처 역을 맡은 '다니엘 데이 루이스'는 역사상 유일무이한 아카데미 남우주연상을 3회 수상한 할리우드 대표 배우이며 이 영화에서는 젊은 시절을 보실 수 있습니다. 영화 <순수의 시대는>는 1994년 아카데미 의상상과 골든글로브 여우조연상을 수상했으나 3400만 달러의 제작비를 들여 3200만 달러의 수익을 올려 당시 흥행에는 참패했습니다. 비록 흥행에는 참패했지만 평단에서는 원작만큼 영화의 작품성을 높게 평가했습니다. 1920년에 발표한 '이디스 워튼(Edith Wharton)' 작가의 동명 소설이 원작이며 이 소설로 작가는 1921년 여성 최초로 퓰리처상을 수상하기도 했습니다.

줄거리
뉴욕 사교계의 두 거목, 아쳐가의 뉴랜드(Newland Archer: 다니엘 데이 루이스 분)와 밍코트가의 메이(May Welland: 위노나 라이더 분)의 약혼 시기를 놓고 인습적인 격식에 얽매인 양가는 의견을 달리하고 있어서 뉴랜드를 안타깝게 한다. 그러던 중, 유럽의 귀족과 결혼했던 메이의 사촌 엘렌(Ellen Olenska: 미셸 파이퍼 분)이 결혼 생활의 파국을 맞고 귀국한다. 이혼이 금기시되어 있는 당시의 분위기에서 엘렌은 늘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린다. 그러나 어렸을 적 소꿉친구였던 뉴랜드는 오랜만의 해후로 가슴이 설렌다. 밍코트가의 가장 격인 밍코트 부인(Mrs. Mingott: 미리암 마골리스 분)의 용단으로 약혼발표를 거쳐 결혼으로 발전하는 동안, 변호사로서 뉴랜드는 자유분방한 엘렌에게 끌리고 어려움에 처한 그녀를 돕는 사이에 차츰 사랑이 싹튼다. 뉴랜드는 자신이 잘 아는 세상에 살고 있는 메이와 그와 오랫동안 꿈꿔오던 세상에 사는 엘렌 사이에서 고민한다. 뉴랜드의 소극적인 성품과 메이의 어리지만 주도한 대응, 그리고 인내로 결국 뉴랜드는 메이의 남편으로 안주한다. 맺어질 수 없는 사랑을 뒤로하고 엘렌은 다시 유럽으로 떠난다. 오랜 세월이 흐른 후 메이를 먼저 떠나보낸 뉴랜드는 우연한 기회에 아들과 함께 유럽으로 여행을 떠난다. 그곳에서 자신이 잠시도 엘렌을 잊은 적이 없다는 사실을 깨닫고 그녀의 아파트를 찾아가지만 끝내 그는 그녀의 아파트 문을 노크하지 못하고 돌아선다. 여기까지 영화의 공식 줄거리입니다.

원작 vs 영화
순수의 시대는 기존의 역사극과는 다르게 실제 인물들을 등장시키지 않고 가상의 인물들을 만들어내었습니다. 이 점 덕분에 관객들은 더욱 몰입해서 감상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감독은 스토리 전개상 불필요한 부분이라 판단되는 장면들을 과감히 삭제하거나 축소시켜 러닝타임을 줄여냈습니다. 이러한 노력 끝에 탄생한 순수의 시대는 개봉 당시 평론가들에게 호평을 받았고 아카데미 시상식에서도 4개 부문 후보에 오를 만큼 뛰어난 작품성을 인정받았습니다. 그렇다면 과연 순수의 시대는 어떤 매력을 가진 작품인지 지금부터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순수의 시대는 앞서 언급했듯이 실존인물들이 등장하지 않습니다. 대신 작가가 창조해 낸 캐릭터들인 세 사람 뉴랜드 아처, 메이 웰랜드, 엘렌 올렌스카야 백작부인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됩니다. 특히나 작가는 각각의 캐릭터마다 성격을 부여함으로써 입체감을 더해주었습니다. 예를 들어 뉴랜드 아처는 전형적인 야망 있는 남성캐릭터이고, 메이 웰랜드는 수동적인 여성캐릭터이며, 엘렌 올렌스카야 백작부인은 자기감정에 충실하고 자유분방한 캐릭터 설정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만들어진 각 캐릭터들은 서로 갈등하며 극을 이끌어갑니다.

추천하는 이유
또한 순수의 시대는 빠른 전개 속도를 자랑합니다. 대부분의 영화 속 사건들은 1시간 이내에 마무리되며, 몇몇 주요 사건들만 2시간 가까이 진행됩니다. 이로 인해 관객들은 지루함을 느낄 새 없이 빠르게 흘러가는 시간 속에서 다양한 감정들을 느끼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순수의 시대는 영상미로도 유명한데요, 화려한 색감과 아름다운 미장센 등 시각적인 요소만으로도 충분히 훌륭한 작품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 후로 미셸 파이퍼의 아름다운 모습에 매료되어 그녀의 오랜 팬이 되었습니다. 이루어지지 못한 사랑의 여운과 19세기 미국 사교계의 아름답고 화려한 복식을 보는 즐거움도 있는 작품입니다. 저처럼 고전 영화를 좋아하는 분들은 꼭 한번 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